[MEGAZINE][대구문화] 진정한 미술시장의 형태를 모색한다 - 아트대구 2007


대구문화 2007년 12월 호


진정한 미술시장의 형태를 모색한다 - 아트대구 2007


소통이 해법이다. 1차 시장에서의 작가발굴과 2차 시장으로의 출 로 모색. 미술 시장이 침체기를 벗어나 상승 분위기를 타고 있는 요즘, 진정한 미술시장의 형태를 모색하는 대규모 아트페어가 준비되고 있다. 이달 국내 최초 아트페어 전문 업체 '리아트'(대표 이희수)가 주관하는 아트 대구 2007이 그것. 국내외 50여 개 화랑에서 300여 작가 참가 및 특별전과 기획전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이 달 12일부터 16일까지 닷새간 대구를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한국미술시장의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듯.

본 전시에서는 국내외 50여 개 화랑에서 300여 작가의 작품 2,000여 점을 선보이고 특별전으로 작고 작가전을 기획해 향토 출신 작가 장석수 회고전(1970년대 작품 위주)을 준비한다. 재외 작가전에서는 프랑스의 김미효. 미국의 김영길, 이탈리아의 윤시영을 초대하고, 유망작가 발굴 프로젝트에서는 공모로 선정된 김성호의 작품을 전시한다. 기획 이벤트 '작은 그림전'은 일반인들이 적은 금액으로 부담 없이 작품 구입을 할 수 있도록 준비했고 12명의 작가가 참가한다. 또 아트대구 2007 마지막 날인 16일 오후 2시 엑스코 회의실에서 미술 평론가 최병식 경희대 교수가 '2007 하반기 한국미술시장 트렌드'라는 주제로 초청강연을 연다.

참가 화랑은 가나아트 갤러리, 박여숙 화랑, 이목화랑, 아트파크, 이화익 갤러리, 필립강 갤러리, 더 컬럼스 갤러리, 김영섭사진화랑, 공산 갤러리, 리안 갤러리, 분도 갤러리, 중앙갤러리, 갤러리 소헌 & 소헌컨템포러리, 타워 갤러리, 아산 갤러리, 프랑스, 오스트리아, 일본, 타이완 등 국내외 50개 화랑. 서울 화랑은 세계적으로 널리 활동을 펴는 화랑, 대구 지역 화랑은 5년 이내 신생 화랑 위주로 구성된 것이 특색 있다. 리아트, (주)월간미술, (주)엑스코가 공동 주최한다.


소통과 유통의 전문화 필요 - 리아트 이희수 대표


미술인구들이 활발하게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소통과 유통의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대구 미술계에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싶다. 리아트 이희수 대표가 아트대구 2007을 앞두고 밝히는 취지다.

영남대 미술대학 1기 졸업생이기도 한 그는 작가로서 그리고 공산갤러리라는 한 화랑의 대표로 긴 세월을 보내며 진정한 '소통'의 방법에 대해 고민해왔다.

대구에서도 수많은 작가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정작 그들이 활동할 수 있을 기반이 약하다. 1970 년대 이 대표가 처음 미술계 입문했을 때와 다를 바 없는 이같은 현실에서 작가들이 발굴되고 그들의 작품이 인정받기까지 전문적으로 기획하고 후원할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 화랑이 가지는 작가 발굴이라는 1 차 시장 기능을 잘 활용하고 화랑이 건강하게 크도록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대표는 스위스의 아트페어 '아트바젤'을 벤치마킹 모델로 삼고 있다. 바젤은 스위스의 수도가 아닌 주변도시임에도 미술인구가 풍부하다. 그럼에도 아트바젤이 세계 최고의 아트페어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소수 주최측의 노력의 결실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개인 업체 중심의 브랜드 화랑과 5년 이내 생긴 신생화랑이 참가한다는 점도 특색 있다.

이 대표는 "40년 미술 경력에서 최근까지 1차 시장 화랑의 디렉터로 활동하면서 군집작가들을 많이 만들어 놨다. 지금이 2차 시장, 바로 아트페어로 진출해야할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근현대 미술의 태동지 대구의 막강한 힘을 보여줄 기회이다. 지금까지 쌓은 노하우를 십분 활용해 성공적인 아트페어를 이끌 것이다"고 포부를 밝혔다.


월간 대구문화 : https://blog.naver.com/cu1985/44590905




Exploring the True Form of the Art Market - Art Daegu 2007


Communication is key. Discovering new artists in the primary market and finding a path to the secondary market. As the art market emerges from a period of stagnation and enters a phase of growth, a large-scale art fair is being prepared to explore the true form of the art market. Art Daegu 2007, hosted by Korea’s first specialized art fair company, LEEART (CEO Heesoo Lee), is set to heat up Daegu from December 12 to 16, with over 50 galleries and 300 artists participating, alongside a variety of special exhibitions and programs. It will be a meaningful event, wrapping up the year for the Korean art market and ushering in a new one.

The exhibition will feature more than 2,000 works by over 300 artists from 50 gallerie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 special exhibitions include a retrospective of the late artist Jang Seok-su, focusing on works from the 1970s, and an international artists exhibition featuring Kim Mihyo from France, Kim Young-gil from the U.S., and Yoon Si-young from Italy. The "Emerging Artist Project" will showcase works by Kim Seong-ho, selected through a public competition. Additionally, the "Small Painting Exhibition" will offer the public a chance to purchase art at affordable prices, with participation from 12 artists. On the final day of Art Daegu 2007, art critic and Kyunghee University professor Byeongsik Choi will give a lecture titled "Trends in the Korean Art Market in the Second Half of 2007" at 2 p.m. at EXCO's conference room.

Participating galleries include Gana Art Gallery, Park Ryu Sook Gallery, Lee Mok Gallery, Art Park, Iwhaik Gallery, Philip Kang Gallery, The Columns Gallery, Kim Young Seob Gallery, Gongsan Gallery, LEEART, Bundo Gallery, Central Gallery,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Tower Gallery, Asan Gallery, as well as galleries from France, Austria, Japan, Taiwan, and more. A unique aspect of the event is that while Seoul-based galleries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the Daegu galleries are primarily new, having been established within the past five years. LEEART, Monthly Art Magazine, and EXCO jointly host the event.


The Need for Specialized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 LEEART CEO Heesoo Lee


"There’s a need for specialized communication and distribution channels where the art community can actively showcase their talents. I want to bring a fresh wave of change to the Daegu art scene," says Heesoo Lee, CEO of LEEART, as he explains the purpose behind Art Daegu 2007.

As a graduate of the first class of the College of Fine Arts at Yeungnam University, Lee has spent decades as both an artist and the head of Gongsan Gallery, grappling with the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 in the art world.

While many artists emerge annually in Daegu, there’s a lack of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ir activities. The situation is no different from when Lee first entered the art world in the 1970s. Lee believes a professional system is needed to discover artists, promote their work, and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It’s crucial to harness the primary market function of galleries—artist discovery—and develop healthy partnerships to nurture them.

Lee takes inspiration from the Swiss art fair Art Basel, noting that despite not being held in the Swiss capital, Basel has a strong art community. He attributes the success of Art Basel to the dedicated efforts of a small group of organizers and highlights the uniqueness of involving both well-established galleries and newer galleries found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After 40 years in the art world, working as a gallery director in the primary market, I’ve developed a strong network of artists. Now is the right time to transition into the secondary market, specifically through an art fair. This is an opportunity to showcase the strength of Daegu, the birthpla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I plan to use all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I’ve gained to make this art fair a success," Lee concludes.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9길 10 (우41000) l 10, Palgongsan-ro 9-gil, Dong-gu, Daegu 41000, Republic of Korea 

Tel.+82 (0)53 257 8900 l Fax.+82 (0)53 257 8910 l Email. sangyoonjae@naver.com


1998-2024 SANGYOONJAE WEBSITE All works and text © SANGYOONJAE Us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모든 권리는 상윤재에게 있습니다. 글과 이미지 자료의 무단 복제, 변형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합니다.